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바울의 3가지 마지막 권면 (11)

바울의 3 가지 마지막 권면 (11)       우리는 입술로만 아니라 생활로도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해야 합니다 .   그러기 위해선 우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해야 합니다 .     여기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한다는 말씀은 3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   (1) 복음의 신앙을 위하여 한 마음 , 한 뜻으로 서서 서로 협력하는 것 ( 빌 1:27).   우리는 주님의 겸손한 마음으로 한 마음을 품고 서로 돕고 힘을 합쳐서 주님의 뜻을 이루어 드림에 있어서 같은 의지와 욕망으로 주님의 일을 해야 합니다 .     (2) 무슨 일에든지 대적하는 자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아니하는 것 (28 절 ).   예수님과 그분의 복음 때문에 핍박을 받고 고난을 당하는 것은 우리에게는 구원받은 증거입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힘과 용기를 주시사 그 핍박과 고난을 견디며 이기게 하실 것입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 그리 스도와 우리를 대적하는 자들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     우리는 이러한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보다 그 두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지라도 그 상황을 극복해 나아갈 수 있는 믿음이 우리에게 없음을 두려워해야 합니다 .   (3) 그리스도를 위하여 믿음으로 고난을 받는 것 (29 절 ). 고난은 유익합니다 .     그 이유는 우리가 고난당하기 전에 그 릇행하였다가 고난을 통하여 우리가 주님의 말씀을 배우므로 그 말씀을 지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

3가지 확신을 가지고 기도합시다.

 3가지 확신을 가지고 기도합시다.

 

 

나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리니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시리로다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 내가 근심하여 탄식하리니 여호와께서 내 소리를 들으시리로다    네 짐을 여호와께 맡기라 그가 너를 붙드시고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로다”(시편 55 16-17, 22).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의 힘으로 2016년 인터넷 사역 한국으로의 18일 일정을 다 마치고 이렇게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아렇게 돌아와서 18일 동안 만난 지체들을 생각할 때 그들과의 대화 속에서 한 가지 느낀 점은 아무리 노력을 해도 미래의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그들은 허탈감도 느끼며 생존을 위하여 이것 저것 포기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들에게는 근심된 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들에게는 마음을 무겁게 하며 짖누르는 일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들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를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들은 그저 막연하게 하루 하루 살아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때에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저는 오늘 본문 시편 55 16-17, 22절 말씀 중심으로 한 3가지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는 교훈을 받습니다:

 

            첫째로우리는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 시편 55 16절을 보십시오: “나는 하나님께 부르짖으리니 여호와께서 나를 구원하시리로다.”  시편 기자 다윗은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만일 그가 자신이 접한 상황을 바라보면 결코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그가 접한 상황은 그의 원수들의 위헙에 두려움을 느끼며 악인들의 압력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그 원수들과 악인들은 원한을 품고 다윗을 미워하고 그에게 고통을 주었습니다(3현대인의 성경).  다윗은 마음으로 심히 괴로워하였습니다.  죽음의 공포가 다윗을 엄습하였습니다(4현대인의 성경).  특히 그의 마음을 괴롭게하였던 것은 그의 대적자들이 바로 그의 동료요 그의 동무이며 그의 가까운 친구였습니다(13).  그들이 다윗을 배반하고 자기가 한 약속을 어겼습니다(20현대인의 성경).  이러한 상황에서도 다윗은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근심과 탄식 속에서 하나님께 부르짖었습니다.  어떻게 그는 그러한 상황에서도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부르짖을 수 있었을까요

 

            우리는 우리가 처한 상황을 바라보면 결코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근심과 걱정과 두려움 가운데서 허덕일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구원의 확신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을 바라보지 말고 그 상황 속에서도 우리를 충분히 건지실 수 있는 구원의 하나님을 믿음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 능력 밖에 있는 우리의 상황이 하나님께 속해 있다는 사실을 믿되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처해있는 그 상황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실 줄 믿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 하나님은 선하신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선하신 하나님을 믿되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도 그의 구원의 능력을 나타내실 줄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께 부르짖어야 합니다.  우리는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하되 우리는 예수님(: ‘하나님은 구원이십니다’)의 이름으로 기도해야 합니다

 

            둘째로우리는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 시편 55 17절을 보십시오: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 내가 근심하여 탄식하리니 여호와께서 내 소리를 들으시리로다.”  시편 기자 다윗은 근심으로 편하지 못하여 탄식하였습니다(2).  그 이유는 원수의 소리와 악인의 압제 때문이었습니다(3).  그들이 죄악을 다윗에게 더하며 노하여 그를 핍박하였으므로 다윗의 마음은 속에서 심히 아파하며 사망의 위험이 그에게 이르렀습니다(3-4).  그러므로 다윗은 두려움과 떨림 속에서 사로 잡힌 무서운 공포로 인하여 근심하며 탄식하였습니다(2, 5).  그리고 그는 근심과 탄식 속에서 하나님께 기도하며 간구하였습니다: “하나님이여 내 기도에 귀를 기울이시고 내가 간구할 때에 숨지 마소서 내게 굽히사 응답하소서”(1-2절 상반절).  그는 하나님께서 자기의 기도 소리를 들으실 줄 믿었습니다.  다윗은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습니다.

 

            우리로 하여금 참으로 견디기 힘들게 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하나님의 침묵입니다.  우리는 아무리 하나님께 간구해도 하나님으로부터 기도 응답이 없다고 생각될 때 매우 힘들어 합니다.  우리는 왜 하나님께서 우리의 기도를 응답하지 않으시는지 이해할 수 없는 가운데서 인내의 한계를 느끼고 기도하는데 낙심까지 합니다.  분명히 예수님께서는 항상 기도하고 낙심하지 말아야 할 것을 비유로 말씀하신 것을 알면서도(18:1) 우리는 낙심하여 하나님께 기도하기를 멈추기까지 합니다.  우리가 당면한 문제는 실제로 게속해서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하기를 중단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는 기도 응답의 확신이 더 이상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에게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가지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한복음 16 24절을 보십시오: “지금까지는 너희가 내 이름으로 아무 것도 구하지 아니하였으나 구하라 그리하면 받으리니 너희 기쁨이 충만하리라.”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예수님의 이름으로 하나님 아버지께 구할 때에 받을 것이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  이 주님의 약속의 말씀을 붙잡고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께 간구해야 합니다.  의로운 재판장이 되시는 하나님께서는 밤낮 부르짖는 택하신 자들의 원한을 속히 풀어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18:7-8).  그러므로 우리는 저녁과 아침과 정오에” 근심하여 탄식하기보다 아침정오저녁에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기도하기를 멈춰서는 아니됩니다.  오히려 우리는 기도 응답을 받을 때까지 하나님께 부르짖어야 합니다.  기도하기를 포기하지 마십시다

 

            마지막 셋째로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붙드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 시편 55 22절을 보십시오: “네 짐을 여호와께 맡기라 그가 너를 붙드시고 의인의 요동함을 영원히 허락하지 아니하시리로다.”  시편 기자 다윗은 자기를 대적하는 자들이 많고 또한 그 많은 대적자들이 변하지 아니하며 하나님을 경외하지 아니함을 알고 있었습니다(18, 19).  그들은 친구인 다윗을 배반하였습니다.  그들은 자기들이 한 약속을 어겼습니다(20현대인의 성경).  그들은 다윗을 속였습니다(23).  그러므로 결코 그들은 다윗이 의지할 대상자들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다윗은 오직 주님만을 의지하였습니다(23).  그는 자기의 짐을 하나님께 맡겼습니다(22).  그 이유는 다윗은 하나님께서 자기를 붙드시고 요동치 않게 하실 것을 믿었기 때문입니다(22). 

 

            우리는 우리의 염려를 다 주님께 맡겨야 합니다(벧전5:7).  그 이유는 주님이 우리를 돌보시기 때문입니다(7).  우리는 우리의 짐을 하나님께 맡겨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 하나님께서 우리를 붙드시고 계시기 때문입니다(55:22).  성경 이사야 41 10절 말씀이 생각납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놀라지 말라 나는 네 하나님이 됨이라 내가 너를 굳세게 하리라 참으로 너를 도와 주리라 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  우리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하시는 임마누엘 하나님이시요 우리를 굳세게 하시며 또한 우리를 도와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그리고 우리 하나님은 우리를 의로운 오른손으로 붙들어 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11:28).  이 세상에서 수고하고 무거운 짐진 자들인 우리는 주님께 기도로 나아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붙드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께 간구해야 합니다.   그리할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요동치 않게 하실 것입니다.

 

            말씀 묵상을 맺고자 합니다.  지난 6 1일부터 18일까지 하나님께서 허락해주신 많은 만남들을 생각할 때 하나님께 감사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형제자매들을 만나면서 주님 안에서 귀한 교제를 나눴습니다.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낸 지체들도 있었지만 마음 문을 열고 주님 안에서 마음과 마음이 이어지는 나눔의 시간도 가진 지체들도 있었습니다.  또한 저는 하나님께서 보시는 몇몇 지체들의 눈물도 보았습니다.  어떻게 해야 좋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는 하나님께 간구하였습니다.  우리는 계속헤서 하나님께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를 우리가 처한 두렵고 근심된 상황에서 건져내실 수 있으신 구원의 하나님께 믿음으로 간구해야 합니다.  이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간구하되 우리는 또한 기도 응답의 확신을 가지고도 기도해야 합니다.  우리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또한 우리는 우리를 붙드시는 하나님께 우리의 모든 짐을 맡겨야 합니다.  구원의 확신과 기도 응답의 확신과 붙드시는 확신을 가지고 하나님께 간구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길 기원합니다.

 

 

 

 

그러나 나는 주를 의지합니다”(55:23, 현대인의 성경),

 

 

제임스 김 목사 나눔

[2016 6 21배우고 확신한 일에 거하길 기원하면서(딤후3: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