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의 능력
[로마서 1장 16-17절]
A. 복음:
1. 복음은 좋은 소식, 복된 소식, 기쁜 소식임.
a. (눅2:10) “천사가 이르되 무서워하지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i) 천사: 양 치는 목자들에게 나타나서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전하였음. 그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은 “너희를 위하
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임(11절).
(1) 목자들: 베들레헴으로 가서 그 큰 기쁨의 소식을 확인하였
음(15-17절). 그런 후 그들은 “듣고 본 그 모든 것으로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찬송하”였음(20절).
(a) 우리는 어떠한가?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인 복음을 듣고 기뻐하며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찬송하는가?
(a1) 고 옥한음 목사의 진단: 복음을 듣고도 기쁨이 없는 자들이 많음. 그 이유는 (1) 복음을 모르기 때문
(2) 복음에 대하여 이상한 반응을 하기 때문에, (3) 복음에 대해서 의심이 있기에, (4) 복음에 대
하여 이상한 교만이 있기에, (5) 복음에 대하여 불
감증이 있기에, 등등.
· 우리는 복음을 겸손히, 믿음으로, 사모하는 마 음으로 들어야 함.
B. 바울:
1. 그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음(16절). 그는 복음을 자랑하였음.
a. 그가 복음을 자랑한 배경:
(i) 당시 유대인들은 복음을 부끄러워했음.
(1) 그들은 이적을 추구했음.
(a) 그들의 역사는 하나님의 수 많은 이적들을 경험하였음 (예:
출애굽 당시 10가지 재앙, 홍해 바다 갈라짐, 구름 기둥과
불기둥, 반석에서 물 나옴, 하늘에서 만나를 주심, 등등).
(a1) 그들은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내려오면 믿겠다고 말하였
음. 그들은 이적을 원하였음. 이러한 믿음은 사람에
게서 난 믿음이지 결코 하나님께서 난 구원에 이르게
하는 믿음(saving faith)이 아님.
(ii) 당시 이방인들인 헬라인들은 복음을 어리석게 여겼음.
(1) 그들은 지혜를 추구했음.
(a) 그들의 역사는 유명한 철학자들을 배출했음(예: 소크라 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등).
(a1) 그들의 관점에서는 예수가 베들레헴에서 태어나 결
국 십자가에 죽고, 죽음에서 부활했다는 말은 미련
한 것이라 여겼음.
(iii) 가이사의 복음(the gospel of Caesar)이 널리 보급되 있었음.
(1) 사도 바울이 사역하고 있던 당시, 로마 황제 가이사는 전쟁 을 통하여 많은 지역들을 점령하고 큰 나라를 이루었으며 많 은 물건들을 상답 받는 등 나라는 부유했고 백성들은 평안을 누리고 있었음.
(a) 그리고 그가 전쟁을 마감하고 온 세상에 평화와 구원을 가져다 주었다는 가이사의 복음(the gospel of Caesar) 이 로마 대도시에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었음.
b.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복음(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을 부끄러워 하지 않고 자랑하였음.
2. 바울은 이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은 이유는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되기 때문임(16절).
a. 여기서 “구원”이란 무엇인가?
(i) 로이드 존스 목사님은 3가지로 말하였음:
(1) 첫째로, 죄책에서의 구원:
(a) 우리가 죄 진것이 있으면 책임을 져야 함. 그 책임이란 죽
음임[(롬6:23상) “죄의 삯은 사망이요”].
(a1) 죄의 형벌인 죽음이란 (1) 육체적 죽음, (2) 영적 죽 음 그리고 (3) 영원한 죽음(지옥에서의 영원한 형벌).
· 그러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우리 대신 죽으심 으로 우리의 형벌을 대신 받으셨음. 그러므로 우 리가 구원 받았음. 우리가 형벌을 면하였음. 오 히려 우리에게 영생의 복이 주어졌음.
(2) 둘째로, 죄의 종에서 자유함:
(a) 우리는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었음(엡2:2-3). 즉,
우리는 사단의 종이였음.
(a1) 그러나 예수님의 십자가의 대속 죽으심으로 말미암
아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종이 되었음.
(3) 셋째로, 죄의 오염에서의 구원:
(a) 우리 본성은 죄의 오염되어졌음.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
셨을 때는 선했지만 아담의 죄로 인하여 우리 본성은 부패해
졌음.
(a1) 그러나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으심으로 말미암아 여기
서 죄의 오염에서 구원을 받아 우리의 본성이 선하고
깨끗하여 졌음.
(ii) 구원의 3 시기:
(1) 이미 구원 받았음(과거)
(2) 지금 구원 받고 있음(현재): 부분적으로 영생 경험하고 있음.
(3) 앞으로 구원 받을 것임(미래): 완전히 영생 경험할 것임.
C. 결론:
1. 그러므로 우리는 감사, 감격하여 기쁜 마음으로 하나님께 영광과 찬송을
드려야 함.
a. 그리고 우리는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오히려 그 복음을 자랑해야
함(복음증거).
(i) 바울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다메섹 도상에서 만나기 전에는 생명을
걸고 복음 증거를 막았음. 그러나 그가 예수님을 만난 후에는 생명
을 조금도 아끼지 않고 복음을 증거하였음.
(1) 우리도 영원한 복을 받은 자들로서 바울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생명을 다하여 전해야 함.
(a) 복음을 전하는 자: 복음이 말로만 전해서는 아니됨. 오히려 능력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복음이 전파되야 함(살전1:5).
(b) 복음을 듣는 자: 많은 환난 가운데서도 성령의 기쁨으로
복음을 받아야 함[6절, 참고: 복음을 받은 루디아(행
16:14)]. 그리고 주님을 본받는 자가 되야 함(살전1:6).
[원로 목사님의 수요기도회 설교 요약]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