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말씀
묵상
하나님이 누구이신지 알지 못하기에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는 것입니다(참고: 출애굽기 5:2, 현대인의 성경).
교인수가 많아진 것을 교회 일(봉사)로 컨트롤하려고 교인들이 하나님께 예배를 제대로 드리지 못할 정도로 더 많은 교회 일로 무겁게 하여 계속 고달프게 일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 (참고: 출애굽기 5:4-9,
현대인의 성경).
매일매일의 책임량을 달성하라고 독촉하는 불신자 직장 상관의 입장에서는 우리가 일요일(주일)만이라도 하나님의 전에 올라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고 싶어하는 것을 우리가 게을러서 그렇다고
생각할 수가 있고 또한 우리가 거짓말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럴 겨를이 없게 하려고 우리를 더욱더 곤경에 처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참고: 출애굽기 5:7-19,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에게는 우리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것이 우선이지만, 하나님을 모르는 고용주에게는 우리가 그를 위하여 일하여 매일매일의 책임량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불신자 고용주의 입장에서 우리가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것이 그의 일을 중단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참고: 출애굽기 5:4-5, 13, 현대인의 성경).
불신자 직장 상관이 우리가 게을러서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고 싶어한다고 오해를 하면 우리의 작업량을
조금도 줄이지 않으면서 매일매일의 책임량을 달성하라고 강요하고 독촉할 수도 있습니다(참고: 출애굽기 5:8, 11, 13, 16, 현대인의 성경).
이스라엘 백성들은 모세와 아론이 자기들을 이집트 왕 바로와 그의 신하들에게 눈의 가시처럼 되게 하여
그들에게 자기들을 죽일 구실을 주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모세와 아론에게 "여호와께서 당신들이 행한 일을 판단하시고 벌하실 것이요"라고 말했습니다(출애굽기 5:21, 현대인의 성경). 교회 목사님으로 인해 우리가 직장 상관에게 눈의 가시 같은
존재가 되었다면 충분히 그 목사님을 원망할 수 있지 않을까요?
모세의 입장에서는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주님의 이름으로 이집트 왕 바로에게 가서 말을 했는데 그때부터
바로 왕이 이스라엘 백성을 더욱 학대하였으므로 하나님께 나아가 이렇게 부르짖었습니다: (1) "여호와여,
어째서 이 백성에게 이런 어려움을 주셨습니까?" (2) "무엇
때문에 나를 보내셨습니까?" (3) "내가 바로에게 가서 주의 이름으로 말한 그때부터 그가
더욱 이 백성을 학대하는데도 주께서는 주의 백성을 전혀 구해 주지 않으셨습니다"(출애굽기
5:22-23, 현대인의 성경).
(1) 왜 하나님께서는 고통을 당하고 있는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자녀들에게 이런 어려움을 주신 것일까요?
(2) 왜 하나님은 나를 그 고통을 당하는 지체들에게 보내신 것일까요? (3) 왜 하나님께서는 그 고통 당하는 형제,
자매들을 그 고통속에서 건져 주시지 않고 계시는 것일까요? 이러한 "왜?"라는 질문들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원망하게 하는 죄를 범하게 할 위험이 참 많습니다. 물론 우리가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를 구하는 기도를 하나님께 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보다 우리는 하나님은 "누구?"이신가?라는 질문의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분명히 하나님은 선하시기에 하나님의 자녀들이 고통 당하는
것을 허락하신 선하시고 온전하시고 기뻐하신 뜻이 있을 것입니다.
그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 안에 우리가 포함이 되어서 하나님께 쓰임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은혜요 특권입니다. 반드시 진실하신 구원의 하나님께서는 어느 누구보다 하나님께서
친히 사랑하는 고통당하고 있는 하나님의 자녀들을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건져 주실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