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주간 짧은 말씀 묵상 (2025년 4월 14-18일)

주간 짧은 말씀 묵상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파 사람들이 예수님께 와서 물었습니다 : “선생님 , 모세의 법에는 형이 자식 없이 아내를 두고 죽으면 동생이 형수와 결혼하여 형의 대를 이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   어느 곳에 일곱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 결혼해 살다가 자식 없이 죽었습니다 .   그리고 둘째가 형수와 살다가 자식 없이 죽고 세째도 그랬으며 일곱이 모두 그렇게 자식 없이 죽고 맨 나중에 그 여자도 죽었습니다 .   이렇게 일곱 형제가 모두 한 여자와 살았으니 부활 때 그 여자는 누구의 아내가 되겠습니까 ? ”   그래서 예수님은 그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셨습니다 : “너희가 성경과 하나님의 능력을 모르기 때문에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 ?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날 때는 장가도 시집도 안 가며 하늘의 천사들과 같이 된다 .   너희는 죽은 사람들의 부활에 대하여 모세의 떨기나무 기사에서 하나님이 모세에게 ' 나는 아브라함의 하나님 , 이삭의 하나님 , 야곱의 하나님이다 .' 라고 하신 말씀을 읽어 보지 못했느냐 ?   하나님은 죽은 사람들의 하나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들의 하나님이시다 .   너희는 크게 잘못 생각하고 있다” ( 마가복음 12:18-27, 현대인의 성경 ; 참고 : 마태복음 22:23-28; 누가복음 20:27-33) 는 말씀 중 오늘은 예수님께서 사두개파 사람들 ( 사두개인들 ) 에게 “ 너희가 성경과 하나님의 능력을 모르기 때문에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 ?   사람이 죽었다가 다시 살아날 때는 장가도 시집도 안 ...

짧은 말씀 묵상 (2022년 2월 3일)

짧은 말씀 묵상

 

 

과연 나는 내 친구들의 영혼 구원을 어느 정도로 간절히 원하고 있는 것일까?  사도 바울처럼 만일 그들이 구원만 얻는다면 내가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나가는 한이 있더라도 나는 그렇게 되기를 원하고 있는가?  지금 나에게는 큰 슬픔과 그치지 않는 마음의 고통이 있는가?  내가 그리스도 안에서 진실을 말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성령님 안에서 내 양심이 증거하고 있는가? (참고: 로마서 9:1-3,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의 선택의 표준은 사람의 행위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뜻에 있습니다(로마서 9:11,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은 은혜 베풀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고 불쌍히 여길 자를 불쌍히 여기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축복은 사람이 원하거나 노력한다고 해서 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자비를 베푸셔야 받습니다(로마서 9:15-16, 현대인의 성경).

 

하나님께서 악하고 마음이 완고한 이집트 왕 바로도 세우시사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셨다면 우리를 세우시사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시지 않으시겠습니까? (참고: 로마서 9:17, 18, 현대인의 성경).

 

우리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의 뜻을 대적하며 하나님께 반문할 수 있겠습니까?  지음을 받은 피조물이 어떻게 감히 조물주이신 하나님에게 "왜 나를 이렇게 만들었습니까?"하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하게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습니까? (로마서 9:19-21, 현대인의 성경)

 

진흙 한 덩이는 토기장이에게 '왜 나를 귀히 쓸 그릇으로 만들지 않고 천히 쓸 그릇으로 만들었습니까?'라고 반문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그것은 토기장이의 권한이기 때문입니다.  토기장이가 원하는 대로 쓸 그릇을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조물인 우리는 조물주의 권한을 도전하여 "왜 나를 이렇게 만들었습니까?"라고 반문하고 있습니다.  토기장이가 되시는 하나님의 권한을 겸손히 믿음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우리 사람들의 완고함이 아닐 수 없습니다(로마서 9:20-21, 현대인의 성경).

 

과연 진노의 그릇이 토기장이에게 "왜 나를 이렇게 만들었습니까?"하고 항의할 수 있겠습니까?  과연 긍휼의 그릇이 토기장이에게 '왜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십니까?'라고 반문할 수 있겠습니까?  도리어 긍휼의 그릇은 '왜 멸망받아야 할 진노의 그릇인 저를 불쌍히 여기셔서 영광을 받도록 긍휼의 그릇으로 삼아주셨습니까?'라고 토기장이의 풍성한 은혜와 긍휼에 감사해야 하지 않나요? (참고: 로마서 9:20-23, 현대인의 성경)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받는 사람은 부끄러움을 당하지 않을 것이지만 인간의 노력과 행위로 의롭다 하심을 얻으려고 추구하는 사람은 장애물에 걸려 넘어질 것입니다(로마서 9:32-33, 현대인의 성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