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전도 방법 세 번째, 복음 도시화입니다. 도시화입니다. 요나는 큰 도시 니느웨로 가라는 부름을 계속해서 세 번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 큰 도시로 가라고 합니다. 요나서 전체는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말씀하는 방식으로 끝납니다. 이곳에는 120,000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이 큰 도시를 사랑하지 않아야 겠느냐는 겁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그 도시로 오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거대한 잃어버린 백성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하나님은 거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여기 12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고 여기 120,00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면, 120명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120,000명에 약간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나님의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빌 크리스핀이라는 오랜 도시 사역 친구가 있는데요. 그는 훌륭한 신학적 추론을 하면서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골에는 사람보다 식물보다 더 많고 도시에는 식물보다 사람이 더 많은데 하나님은 식물보다 사람을 더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는 시골보다 도시를 더 사랑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요나를 도시로 부르셨을 때 그분은 단순히 길 잃은 사람들이 더 많은 곳으로 가라고 한 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그분은 전략이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 말을 잘 말해야 하는데요. 제가 이것을 강조할 때마다 사람들이 항상 제게 “맞아요, 도시로 가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그것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롯과 아브라함의 예가 있죠. 롯은 도시로 가서 파멸되고 아브라함은 도시 밖에 있기 때문에 멋진 농촌 생활을 하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바로 자기라고 합니다. 왜 도시로 가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롯은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롯이 거기에 간 것은 그가 그 도시의 일...

바울의 마지막 문안 인사 (3)

바울의 마지막 문안 인사 (3)

 

 

 

 

저는 골로새서 1 2 말씀을 묵상했을 사도행전 9장에 나오는 주님께서는 사울(바울) “회심”(conversion)시키시고 이방인의 사도로서 “사명”(commission) 주셨다는 말씀을 묵상하게 되었습니다: “주께서 이르시되 가라 사람은 이름을 이방인과 임금들과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택한 나의 그릇이라”[(현대인의 성경) “그러나 주님은 아나니아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가거라. 그는 이름을 이방인들과 왕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널리 전하도록 내가 선택한 사람이다”](9:15).  주님께서는 바울을 선택하시사 예수님의 이름(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이방인들과 왕들과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널리 전하도록 하셨기에 바울은 갈라디아서 2 8절에서 이렇게 말씀했습니다: “베드로에게 역사하사 그를 할례자의 사도로 삼으신 이가 또한 내게 역사하사 나를 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셨느니라.  바울이 골로새에 있는 신실한 성도들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하면서 자기 자신을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바울”(1:1)이라고 소개한 이유는 골로새 교회는 사도 바울이 개척한 교회도 아니었기에 교회 성도들에게는 바울이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KJV 성경주석).  그래서 바울은 그들에게 자신이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 주님께서 자기를 이방인의 사도로 삼으셨으므로 다른 12 사도들과 동등함을 알리기 위해 골로새서 편지를 쓰기 시작하면서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 바울”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것입니다(KJV성경주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