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전도 방법 세 번째, 복음 도시화입니다. 도시화입니다. 요나는 큰 도시 니느웨로 가라는 부름을 계속해서 세 번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 큰 도시로 가라고 합니다. 요나서 전체는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말씀하는 방식으로 끝납니다. 이곳에는 120,000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이 큰 도시를 사랑하지 않아야 겠느냐는 겁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그 도시로 오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거대한 잃어버린 백성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하나님은 거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여기 12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고 여기 120,00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면, 120명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120,000명에 약간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나님의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빌 크리스핀이라는 오랜 도시 사역 친구가 있는데요. 그는 훌륭한 신학적 추론을 하면서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골에는 사람보다 식물보다 더 많고 도시에는 식물보다 사람이 더 많은데 하나님은 식물보다 사람을 더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는 시골보다 도시를 더 사랑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요나를 도시로 부르셨을 때 그분은 단순히 길 잃은 사람들이 더 많은 곳으로 가라고 한 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그분은 전략이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 말을 잘 말해야 하는데요. 제가 이것을 강조할 때마다 사람들이 항상 제게 “맞아요, 도시로 가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그것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롯과 아브라함의 예가 있죠. 롯은 도시로 가서 파멸되고 아브라함은 도시 밖에 있기 때문에 멋진 농촌 생활을 하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바로 자기라고 합니다. 왜 도시로 가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롯은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롯이 거기에 간 것은 그가 그 도시의 일...
바울의 마지막 문안 인사 (4)
골로새서
1장 2절에선 바울이 골로새서 편지의 수신자에 대해서 이렇게 말씀하였습니다: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
곧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에게 편지하노니 ….” 여기서 “성도들”이란 하나님의 목적(God’s
purpose)과 하나님의 일(God’s
service)을 위하여 하나님께 구별된 사람들입니다(KJV성경 주석).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이란 예수 그리스도를 계속해서 신실하게 믿는 형제들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1) 믿음이 충만한 자들이요(full
of faith), (2) 신뢰하는 사람들(trustful)이요, 또한 신뢰할 만한 사람들(trustworthy)로서 (3) 그리스도에게 충성된 자들(loyal
to Christ)입니다(KJV
성경 주석). 사도 바울은 이들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하면서 골로새서
1장2절 하반절에서 “우리 아버지 하나님으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현대인의 성경)
“하나님 우리 아버지의 은혜와 평안이 함께 하기를 기도합니다”]하고 말씀했습니다. 동일한 하나님 아버지의 은혜와 평강이 여러분에게도 있길 기원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