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 시대적 사랑법, 복음 도시 운동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전도 방법 세 번째, 복음 도시화입니다. 도시화입니다. 요나는 큰 도시 니느웨로 가라는 부름을 계속해서 세 번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십시오. 큰 도시로 가라고 합니다. 요나서 전체는 하나님께서 요나에게 말씀하는 방식으로 끝납니다. 이곳에는 120,000명의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이 큰 도시를 사랑하지 않아야 겠느냐는 겁니다. 어떤 면에서 하나님은 요나에게 그 도시로 오라고 말씀하시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거대한 잃어버린 백성을 어떻게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하나님은 거의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솔직하게 여기 12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고 여기 120,000명의 잃어버린 사람들이 있다면, 120명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120,000명에 약간 더 비중을 두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나님의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빌 크리스핀이라는 오랜 도시 사역 친구가 있는데요. 그는 훌륭한 신학적 추론을 하면서 제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시골에는 사람보다 식물보다 더 많고 도시에는 식물보다 사람이 더 많은데 하나님은 식물보다 사람을 더 사랑하시기 때문에 그는 시골보다 도시를 더 사랑해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요나를 도시로 부르셨을 때 그분은 단순히 길 잃은 사람들이 더 많은 곳으로 가라고 한 것은 아니라고 확신합니다. 그분은 전략이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이 말을 잘 말해야 하는데요. 제가 이것을 강조할 때마다 사람들이 항상 제게 “맞아요, 도시로 가야 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확실히 성경에는 여러 곳에서 그것이 좋지 않은 생각이라고 합니다. 롯과 아브라함의 예가 있죠. 롯은 도시로 가서 파멸되고 아브라함은 도시 밖에 있기 때문에 멋진 농촌 생활을 하고 거룩하게 지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게 바로 자기라고 합니다. 왜 도시로 가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롯은 소돔과 고모라의 일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롯이 거기에 간 것은 그가 그 도시의 일...

예수님은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예수님은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요셉의 위는 헬리요 위는 맛닷이요 위는 레위요 위는 멜기요 위는 얀나요 위는 요셉이요 위는 맛다디아요 위는 아모스요 위는 나훔이요 위는 에슬리요 위는 낙개요 위는 마앗이요 위는 맛다디아요 위는 서머인이요 위는 요섹이요 위는 요다요 위는 요아난이요 위는 레사요 위는 스룹바벨이요 위는 스알디엘이요 위는 네리요 위는 멜기요 위는 앗디요 위는 고삼이요 위는 엘마담이요 위는 에르요 위는 예수요 위는 엘리에서요 위는 요림이요 위는 맛닷이요 위는 레위요 위는 시므온이요 위는 유다요 위는 요셉이요 위는 요남이요 위는 엘리아김이요 위는 멜레아요 위는 멘나요 위는 맛다다요 위는 나단이요 위는 다윗이요 위는 이새요 위는 오벳이요 위는 보아스요 위는 살몬이요 위는 나손이요 위는 아미나답이요 위는 아니요 위는 헤스론이요 위는 베레스요 위는 유다요 위는 야곱이요 위는 이삭이요 위는 아브라함이요 위는 데라요 위는 나홀이요 위는 스룩이요 위는 르우요 위는 벨렉이요 위는 헤버요 위는 살라요 위는 가이난이요 위는 아박삿이요 위는 셈이요 위는 노아요 위는 레멕이요 위는 므두셀라요 위는 에녹이요 위는 야렛이요 위는 마할랄렐이요 위는 가이난이요 위는 에노스요 위는 셋이요 위는 아담이요 위는 하나님이시니라”(누가복음 3:23-38)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1)   말씀은 누가복음의 저자 누가가 예수님의 족보를 기록한 것인데 기록의 시작은 예수님은 사람들이 아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23)이라는 말씀이요 기록의 마지막은 하나님이시니라 말씀입니다(38). 

 

(a)   이렇게 누가는 예수님의 족보를 하나님에게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예수님께서 진정한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명하고 있습니다(호크마).

 

(i)                  사실을 묵상할 우리가 이미 묵상한 누가복음 3 22 말씀이 생각납니다: “성령이 비둘기 같은 형체로 그의 위에 강림하시더니 하늘로부터 소리가 나기를 너는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 하시니라.”

 

·         말씀들을 종합해서 말한다면, 예수님은 가장 높으신 하나님이 사랑하시며 기뻐하시는 아들이십니다!

 

(b)   이렇게 누가는 예수님의 족보를 결국에 가서는 하나님에게까지 연결을 시켰는데 예수님과 하나님 사이에 기록된 많은 이름들 중에 저는 다윗”(31)이란 이름을 생각할 우리가 이미 묵상한 누가복음 1 31-33 말씀이 생각납니다.

 

(i)                  아마도 이유는 가브리엘 천사가 다윗의 후손 요셉과 약혼한 처녀 마리아”(27, 현대인의 성경)에게 나타나 중에 예수님의 조상 다윗”(32)이란 말씀과 더불어 예수님은 가장 높으신 하나님의 아들”(32)이라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네가 임신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다.  이름을 '예수'라고 불러라.  그는 위대한 인물이 것이며 가장 높으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릴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의 조상 다윗의 보좌를 그에게 주실 것이니 그가 영원히 야곱의 집을 다스릴 것이며 그의 나라는 끝없이 계속될 것이다”(31-33, 현대인의 성경).

 

·         결국 예수님의 조상 중에 다윗이란 인물이 있다는 사실은 사도 바울이 로마 교회에 편지 내용 복음”(1:2) 말씀을 생각나게 합니다: “ 복음은 하나님이 선지자들을 통하여 그의 아들에 관하여 성경에 미리 약속하신 것이라 그의 아들에 관하여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혈통에서 나셨고”[(현대인의 성경) “ 기쁜 소식은 하나님께서 예언자들을 통해 성경에서 미리 약속하신 그의 아들에 관한 것입니다.  그분으로 말하면 육신으로는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나시고”](2-3).

 

-          (딤후 2:8, 현대인의 성경) “예수 그리스도는 내가 전한 기쁜 소식대로 다윗의 후손이시며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분입니다.  그대는 그분을 기억하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