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본받아인 게시물 표시

2025 인터넷 사역 한국으로 넷째날을 뒤돌아보면서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이유

2025 인터넷 사역 한국으로 넷째날을 뒤돌아보면서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이유: 1. 인간적으로 볼 때 결코 감사할 수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감사의 글을 이 새벽에라도 쓰게 하시기에 2. 인생의 위기와 고통 속에서 오히려 예수님의 비천함을 묵상케하시고 예수님의 비천함이 우리의 비천함이 되게하고 계심을 믿음의 눈으로 엿보게 되었기에 3. 가정의 고난과 고통 속에서도 믿음의 주님이시요 온전케하시는 주님만을 바라보게 하고 계시기에 4. 하나님께서 준비해 놓으신 사람들을 그 때 그 때 보내주시사 마음을 준비케하여 주시고 주님의 때에 주님의 뜻대로 적합한 결단을 내리게 하실 것이기에 5. 마음 문을 열어주시고 마음의 이야기를 쏟아내게 하셨기에 6. 반갑고 즐겁고 의미있는 만남과 대화들을 하게 하셨기에 7. 인간의 이성과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을 겪는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주권을 믿음으로 인정케 하셨고 지금도 인정케 하고 계시기에 8. 함께 아파하고 함께 울게 하셨기에 9. 목사님의 극심한 고통과 심지어 죽음의 문턱에서도 생명을 연장시켜주신 하나님의 뜻이 있음을 믿음으로 고백케 하셨기에 10. 가짜 목사와 가짜 복음을 경계해야 함과 동시에 교회 지도자들의 회개의 필요성을 인정 및 고백케 하셨기에.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 교회의 지도자들과 교인들이 그 주변 사람들의 악한 행위를 본받아 세상 사람들의 우상들을 섬기고 하나님께서 거룩하게 하신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 ( 참고 : 역대하 36:14, 현대인의 성경 ; 고린도전서 3:17)

“평생 그 죄에서 떠나지 않았다”는 말씀

“ 평생 그 죄에서 떠나지 않았다 ” 는 말씀 이스라엘 왕 므나헴은 “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범죄하게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을 본받아 평생 그 죄에서 떠나지 않았다 ” 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습니다 ( 열왕기하 15:17-18, 현대인의 성경 ).   우리를 종종 ‘ 사람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 ’ 고 말하곤 합니다 .   또한 우리는 도박 중독자나 마약 중독자도 각각 도박과 마약을 끊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   그 이유가 뭘까요 ?   “ 평생 그 죄에서 떠나지 않았다 ” 는 말씀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돈을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돈을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 자녀를 돈을 사랑하는 세상 사람과 결혼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   만일 우리가 그리한다면 우리 자녀도 그 / 녀를 본받아 돈을 사랑하며 섬기게 될 것입니다 ( 참고 : 출애굽기 34:16, 현대인의 성경 ).

우리가 원하는 것

우리가 원하는 것   우리가 원하는 것은 그리스도를 바로 알고 그분의 부활의 능력을 체험하며 그분의 고난에 참여하고 그분의 죽음을 본받아 어떻게 해서든 우리도 부활하는 것입니다 ( 빌립보서 3:10-11, 현대인의 성경 ).

우리는 주님의 종에게 칭찬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종에게 칭찬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를 본받는 주님의 종을 기억하고 그 종이 우리에게 전해 준 교훈을 그대로 잘 지킴으로 주님의 종과 주님을 본받는 자들이 될 때에 우리는 주님의 종에게 칭찬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 고린도전서 11:1-2; 데살로니가전서 1:6, 현대인의 성경 ).

그리스도인의 아름다움

그리스도인의 아름다움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셨을 때 예루살렘에 유월절을 지키고자 모였던 큰 무리들이 종려 나무 가지를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셨을 때 예루살렘에 유월절을 지키고자 모였던 큰 무리들이 종려 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 호산나 찬송하리로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 왕이시여 " 라고 외쳤습니다 ( 요 12:13).   여기서 종려 나무는 " 의와 아름다움과 승리 " 를 상징합니다 .   그 큰 무리들은 예수님을 이스라엘의 승리의 왕으로 여겼고 예수님께서 의를 행하시되 자기들을 로마 정부로 부터 해방시켜주시고 ( 정치적 해방 ), 경제적 번영을 가져도 주시고 또한 사회적 공의를 이루실 것을 기대했습니다 .   그것이 그들이 보았던 예수님의 아름다움이였습니다 .   그러나 하나님 아버지께서 '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 기뻐하는 독생자 예수님 ' 에게 보신 아름다움은 무엇이었을까요 ?    그것은 성부 하나님의 뜻을 죽기까지 순종하신 것입니다 ( 빌 2:8).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보시는 예수님의 아름다움입니다 .   우리는 이 예수님의 아름다움을 본받아야 합니다 .   우리도 예수님을 본받아 주님의 뜻에 죽기까지 순종하십시다 .  그것이 우리 그리스도인의 아름다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