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원의 확신 (11) (로마서 8장 29-30절)

구원의 확신 (11)       [ 로마서 8 장 29-30 절 ]     로마서 8 장 30 절 말씀입니다 : “또 미리 정하신 그들을 또한 부르시고 부르신 그들을 또한 의롭다 하시고 의롭다 하신 그들을 또한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 ”   여기서 “또한 의롭다 하시고”는 칭의를 말씀합니다 .   우리는 이미 로마서 3 장 21-26 절을 통하여 칭의에 대하여 7 가지 교훈을 받았습니다 : (1) 칭의의 창시자 , (2) 칭의 필요성 , (3) 칭의의 근거 , (4) 칭의의 통로 , (5) 칭의의 보편성 , (6) 칭의의 목적 , (7) 칭의의 결과 .     오늘은 “ 구원의 확신 (11)” 이란 제목 아래 로마서 8 장 30 절 하반절 “ 또한 영화롭게 하셨으니라 ” 는 말씀을 묵상하고자 함 .   3 단계로 묵상하려고 합니다 .   첫째로 , 부활의 단계입니다 .   우리가 부활하면 그것은 영화 ( 영광 ) 입니다 .   우리가   의롭다하심 ( 칭의 ) 을 입은 것은 우리 영혼이 부활한 것입니다 .   한 사람 아담의 범죄로 [ 창세기 2 장 17 절에서 말씀하고 있는 하나님의 명령을 불순종하였음 (3:6)] 말미암아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 이르렀는데 ( 롬 5:12) 그 사망이란 우리 영혼이 죽었습니다 [ 참고 : ( 엡 2:1, 현대인의 성경 ) “ 여러분은 불순종과 죄 때문에 영적으로 죽었던 사람들입니다 ”].   즉 , 우리는 생명이신 하나님과 분리된 것입니다 .   그래서 우리는 영혼이 멸망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   이런...

"주의하라" (1)

주의하라” (1)

 

 

 

 

“이단”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입니까?  “’이단’ ‘다를 이’에 ‘끝 단’자로 구성 된 단어이며 ‘끝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단을 의미하는 영어 명사 ‘헤러시’(heresy)의 어근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 ‘하이레시스’가 신약성경에 서는 ‘사두개파’, ‘바리 새파’, ‘파당’ 등과 같은 ‘분파’를 의미하는 중립적 개념이다.  1세기의 사도들은 일종의 ‘특정 집단’을 가리키는 의미로 그 단어를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2세기의 속사도교부 들은 그 용어를 부정과 차별의 의미를 내포한 평가적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오늘 우리가 사용하는 이단의 의미다.  그러므로 이단이란 용어는 이미 2세기부터 기독교인들에게 아주 익숙한 개념이 (인터넷).  영국 신학자 맥그래스에 의하면, “이단은 우발적이든 고의든 주인의 집안에 대안적 신념 체계를 세우는 수단, 즉 일종의 트로이 목마 같은 것이다.  이단은 겉으로는 기독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파괴적 씨앗을 심는 신앙의 원수이다. . “오늘날 ‘이단’이란 말은 ‘완전히 다른 복음’, 즉 기독교에 포함시킬 수 없는 단체나 모임에 적용하는 용어다.  그렇다면 기독교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는 기준, 즉 이단의 기준은 무엇인가?  기독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혀 기독교가 아닌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은 ‘삼위일체’와 ‘그리스도의 양성’에 관한 정통 기독교 교리를 부인하거나 크게 벗어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믿음의 대상인 신론과 기독론이 다를 경우, 이것을 ‘이단’으로 규정할 수 있다”(인터넷).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