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하나님 보시기에 지혜로운 사람

하나님의 나라가 멀지 않은 지혜로운 사람은 하나님은 한분이신 것과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과 이웃을 자기 몸과 같이 사랑하는 것이 무수한 제물이나 많은 헌금이나 수 많은 봉사보다 낫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참고:마가복음 12:32-34, 현대인의 성경)(인천공항에서 리무진 타고 합정역으로 가면서).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그 자체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그 자체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없었을 때 이스라엘의 대적(원수)인 도비야는 제물로 바칠 곡식, , 성전 기구, 레위 사람과 성가대원과 문지기에게 주는 곡식과 새 포도주와 기름의 십일조, 그리고 제사장들에게 주는 예물을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 큰 방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도비야로 하여금 그 큰 방을 사용하도록 한 사람은 바로 성전 골방을 맡은 제사장 엘리아십이었는데 그는 도비야와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온 사람이었습니다.  느헤미야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을 때 엘리아십이 하나님의 성전에 있는 방을 도비야에게 제공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분노를 금할 수가 없어서 도비야의 모든 물건을 밖으로 집어 던지고 명령하여 그 방을 정결하게 한 다음 성전 기구와 제물로 바칠 곡식과 향을 다시 들여놓았습니다(느헤미야 13:4-9, 현대인의 성경).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제사장 엘리아십은 이스라엘의 대적(원수)인 도비야와 관계를 끊었어야 했는데(또는 자기 자신을 도비야로부터 분리시켰어야 했는데)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그 자체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제사장 엘리아십은 그리 못했기에 결국에 가서는 그 큰 방을 도비야에게 제공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입니다.  어떻게 이스라엘의 대적(원수)으로 하여금 그 큰 방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었을까요?  이것은 마치 주님의 종인 목사님이 우리의 원수인 사탄의 종을 우리 교회 안으로 초청한 것이나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그 결과 그 사탄의 종이 교회 안에서 무슨 일을 하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느헤미야처럼 분노를 금할 수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사탄의 종을 교회 밖으로 좇아내고 또한 그의 모든 물건 등을 교회 밖으로 집어 던져버려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회개하여 우리 마음과 교회를 정결하게 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