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시므이인 게시물 표시

2025 인터넷 사역 한국으로 넷째날을 뒤돌아보면서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이유

2025 인터넷 사역 한국으로 넷째날을 뒤돌아보면서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이유: 1. 인간적으로 볼 때 결코 감사할 수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감사의 글을 이 새벽에라도 쓰게 하시기에 2. 인생의 위기와 고통 속에서 오히려 예수님의 비천함을 묵상케하시고 예수님의 비천함이 우리의 비천함이 되게하고 계심을 믿음의 눈으로 엿보게 되었기에 3. 가정의 고난과 고통 속에서도 믿음의 주님이시요 온전케하시는 주님만을 바라보게 하고 계시기에 4. 하나님께서 준비해 놓으신 사람들을 그 때 그 때 보내주시사 마음을 준비케하여 주시고 주님의 때에 주님의 뜻대로 적합한 결단을 내리게 하실 것이기에 5. 마음 문을 열어주시고 마음의 이야기를 쏟아내게 하셨기에 6. 반갑고 즐겁고 의미있는 만남과 대화들을 하게 하셨기에 7. 인간의 이성과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을 겪는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주권을 믿음으로 인정케 하셨고 지금도 인정케 하고 계시기에 8. 함께 아파하고 함께 울게 하셨기에 9. 목사님의 극심한 고통과 심지어 죽음의 문턱에서도 생명을 연장시켜주신 하나님의 뜻이 있음을 믿음으로 고백케 하셨기에 10. 가짜 목사와 가짜 복음을 경계해야 함과 동시에 교회 지도자들의 회개의 필요성을 인정 및 고백케 하셨기에.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사무엘하 16장 12절)

“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 현대인의 성경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를 축복해 주실지도 모른다” ]( 사무엘하 16 장 12 절 ).       오늘 이 시간 우리 모두 저주의 나무 ( 신 21:23) 인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신 예수님을 생각하십시다 .   당시 유대인들의 관점에서는 나사렛 예수가 자칭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여 신성모독 죄 ( 마 26:65)) 로 하나님께 저주를 받아 십자가에 못박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그러나 참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께서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신 이유는 영원히 저주받아 영원히 멸망 받을 수밖에 없었던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구원하시기 위해서였습니다 .   우리는 충분히 저주를 받아 마땅한 이유가 있지만 예수님께서는 저주의 나무에 죽으실 아무 이유도 없으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모든 죄를 대신 걸머지시고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셨습니다 .   그 이유는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임한 저주를 돌이켜 우리에게 영생의 축복을 주시기 위해서였습니다 ( 신 23;5, 느 13:2, 엡 1:3ff).   이 영생의 축복과 모든 영적인 축복을 받은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   우리는 예수님의 제자들로서 까닭 없는 비난을 받고 욕을 먹으며 심지어 저주를 받을지라도 묵묵히 주님의 말씀에 복종하여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   우리가 그렇게 하기 위해선 우리는 신뢰하는 하나님께 기도하며 또한 신뢰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묵상해야 합니다 .   오늘 본문 사무엘하 16 장 12 절을 보면 다윗은 아비새와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1...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2) (사무엘하 16장 12절)

“ 어쩌면 하나님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 ” (2)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하고” [( 현대인의 성경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를 축복해 주실지도 모른다” ]( 사무엘하 16 장 12 절 ).       둘째로 , 우리 하나님은 그 저주 때문에 선으로 우리에게 갚아 주십니다 .   달리 말한다면 , 우리 하나님은 저주를 돌이켜 우리를 축복해 주십니다 .   잠언 26 장 2 절을 보면 성경은 “까닭 없는 저주는 참새가 떠도는 것과 제비가 날아가는 것 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느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여기서 “까닭 없이 저주”하는 사람은 미련한 사람이요 그 저주는 공의롭지 않은 저주 (an unjust curse ) 일 수밖에 없습니다 .   성경은 이 미련한 사람의 공의롭지 않는 저주는 마치 “참새가 떠도는 것과 제비가 날아가는 것 같”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잠 26:2).   무슨 뜻입니까 ?   여기서 참새가 “떠도는 것”은 ‘목적이 없기’ (aimless) 때문입니다 .   그러기 때문에 목적 없이 하늘에서 떠도는 참새는 어디에 착륙 (landing) 해야 할지 몰라 그냥 허공에서 맴돕니다 .   바로 까닭 없는 저주가 그렇다는 말입니다 .   즉 , 목적이 없다는 것은 저주의 실패를 상징합니다 .   그래서 성경은 “까닭 없는 저주는 …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   다시 말하면 , 공의롭지 않은 저주는 그대로 성취되지 않는다는 말씀입니다 .   예를 들어 , 골리앗이 블레셋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했지만 ( 삼상 17:43-44), 다윗은 도리어 승리...

좋은(선한) 영향을 끼치면서 살다가 주님 앞에서 설 때에 ...

좋은(선한) 영향을 끼치면서 살다가 주님 앞에서 설 때에 ...  아버지 다윗이 아들 솔로몬에게 한 유언 내용 중에는 세 사람의 이름을 언급했습니다 : (1) 요압 , (2) 바실래 , (3) 시므이 .   다윗은 솔로몬에게 그 세 사람들 중에 요압과 시므이는 지혜로운 아들 솔로몬이 지혜롭게 다루어 그들의 죄에 대한 벌 (punishment) 을 내릴 것을 유언했습니다 .   그리고 나머지 한 사람인 바실래는 그의 아들들에게 상급 (reward) 을 내리되 그들에게 친절을 베풀어 그들로 하여금 솔로몬의 식탁에 앉아 먹게 하라고 유언했습니다 ( 열왕기상 2:5-9,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다윗의 유언의 말씀을 묵상할 때 다윗은 죽기 전까지 이 세 사람을 잊지 못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그 정도로 이 세 사람들은 다윗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   물론 그 큰 영향도 두 명은 나쁜 영향을 끼쳤고 나머지 한 명은 좋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 .   그리고 다윗은 지혜로운 아들 솔로몬 왕이 그 세 사람들에게 공의를 행하길 원했던 것 같습니다 : 다윗은 자신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 요압과 시므이에게는 형벌을 내리고 , 자신에게 좋은 영향을 끼친 ( 호의를 베푼 ) 바실래에게는 그의 아들들에게 상급을 내려라 .   우리는 바실래처럼 사람들에게 좋은 ( 선한 ) 영향을 끼치면서 살다가 주님께서 천국으로 오라고 하셔서 주님 앞에 설 때에 주님께 칭찬과 상급을 받을 수 있길 기원합니다 .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다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우리를 “축복”해 주신 하나님 아버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다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우리를 “축복”해 주신 하나님 아버지  아비새가 가서 당장 다윗왕을 저주한 죽은 개 같은 시므이의 목을 베고 싶어했을 때 다윗왕은 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 이건 네가 상관할 일이 아니다 .   여호와께서 나를 저주하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그가 나를 저주하고 있다면 누가 그에게 네가 어째서 이렇게 하느냐 ? 고 말할 수 있겠느냐 ?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나를 죽이려고 하는데 하물며 이 베냐민 사람이야 말할 게 있겠느냐 ?   여호와께서 저에게 그렇게 하라고 말씀하신 것이니 내버려 두어라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를 축복해 주실지도 모른다 .”   그래서 다윗과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아무 말없이 길을 갔으나 시므이는 비탈길로 계속 따라오면서 여전히 저주하고 돌을 던지며 티끌을 날렸 ” 습니다 ”( 사무엘하 16:10-13,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시므이가 비탈길로 계속 다윗왕을 따라오면서 여전히 그를 저주하고 돌을 던지켜 티끌을 날렸음에도 불구하고 다윗과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 아무 말없이 ” 길을 갔다는 말씀을 묵상할 때 이사야 53 장 7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 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서 잠잠한 양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   그리고 저는 “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나를 죽이려고 하는데 …” 라는 말씀을 묵상할 때 하나님 아버지께서 “ 사랑하고 기뻐하는 내 아들 ”( 마태복음 3:17, 현대인의 성경 ) 이라고 말씀하신 예수 그리스도에게 “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하게 하셨 ” 다 ( 이사야 53:10) 는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그리고 저는 “ 어쩌면 여호와께서 내가 당하는 어려움을 보시고 오늘의 이 저주로 인해서 나...

죽은 개 같은 자를 위해 자신의 몸을 단번에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드리신 예수 그리스도

죽은 개 같은 자를 위해  자신의 몸을 단번에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드리신 예수 그리스도 시므이가 다윗왕을 저주했을 때 아비새는 다윗 왕에게 “ 어째서 왕은 이 죽은 개 같은 녀석이 왕을 저주하도록 내버려 두십니까 ?   제가 가서 당장 저놈의 목을 베겠습니다 ” 라고 말했습니다 ( 사무엘하 16:9,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1) 아비새는 다윗왕을 저주하는 시므이를 가리켜 “ 이 죽은 개 같은 녀석 ” 이라고 말했는데 다윗이 사울 왕에게 “ 어째서 왕은 죽은 개나 벼룩 같은 자를 쫓고 있습니까 ?”( 사무엘상 24:14, 현대인의 성경 ) 라고 말한 것이 생각납니다 .   사울 왕은 " 죽은 개나 벼룩 " 같은 다윗을 쫓아 죽이려고 했지만 만 왕의 왕이신 예수님은 " 죽은 개나 벼룩 " 같은 나를 살리시려고 이 낮고 낮은 천한 세상까지 오셔서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죽으셨습니다 .   (2) 다윗이 아비새와 함께 사울왕의 진지까지 갔었을 때 아비새가 다윗에게 “ 하나님이 오늘 당신의 원수를 당신에게 넘겨주셨습니다 .   그러므로 내가 가서 저 창으로 그를 찔러 땅에 꽂겠습니다 .   두 번 찌를 것도 없이 단번에 해치우겠습니다 ” 라는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사무엘상 26:8, 현대인의 성경 ).   이 아비새란 인물은 다윗에게 충성심이 대단했던 것 같습니다 .   그래서 그는 다윗의 원수를 “ 단번 ” 에 해치우길 원했고 또한 다윗을 저주한 자도 “ 당장 ” 가서 목을 베고 싶어했던 것 같습니다 .   (3) 그러나 아비새는 자기가 보기에 “ 다윗의 원수 ” 였던 사울 왕을 “ 단번 ” 에 해치우지 못했습니다 .   그 이유는 다윗이 “ 그건 안 된다 .   그를 죽이지 말아라 .   여호와께서 택하신 왕을 해하는 자가 어찌 죄가 없겠느냐 ?   분명히 말하지만 여호와께서 그를 치실 것이니 그는 죽을 때가 ...

시므이의 다윗 왕 저주와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죽으신 다윗의 후손인 예수 그리스도

시므이의 다윗 왕 저주와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죽으신 다윗의 후손인 예수 그리스도 다윗 왕이 압살롬으로부터 도망가고 있었을 때 사울이 집안 사람 중 하나인 시므이라는 자가 다윗과 그의 신하들에게 돌을 던지면서 다윗을 저주했습니다 : “ 살인자여 !   악한이여 !   여기서 사라져라 !   여호와께서 사울과 그 가족을 죽인 죄를 너에게 갚으셨다 .   네가 사울의 왕위를 빼앗았으나 이제 여호와께서 그것을 너의 아들 압살롬에게 주었구나 !   너는 사람을 죽인 죄로 이제 벌을 받아 망하게 되었다 !”( 사무엘하 16:5-7, 현대인의 성경 ).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할 때 (1) 시므이이가 다윗왕을 저주한대로 다윗은 “ 살인자여 악한 ” 이라고 생각합니다 .   제가 그리 생각하는 이유는 다윗은 충성된 군인 우리아를 죽였기 때문이요 또한 우리아의 장례를 마친 후 사람을 보내 우리아의 아내인 밧세바를 왕궁으로 데려와 자기의 아내로 삼았을 때 성경은 “ 그 일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하였더라 ” 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1:27).   (2) 그러나 시므이가 다윗에게 “ 여호와께서 사울과 그 가족을 죽인 죄를 너에게 갚으셨다 ” 라고 저주한 내용이나 “ 네가 사울의 왕위를 빼앗았으나 이제 여호와께서 그것을 너의 아들 압살롬에게 주었구나 !” 라는 내용은 동의를 할 수가 없는 것은 다윗은 사울과의 그 가족을 죽이지 않았고 또한 사울의 왕위를 빼앗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사울과 그 가족은 블레셋 사람들과의 전쟁에서 죽었고 ( 사무엘상 31:1-6) 또한 사울의 왕위는 사울이 하나님의 명령에 불순종하여 하나님께서 그에게서 하나님의 은총을 빼앗았기에 ( 사무엘하 7:15) 그가 왕위를 빼앗긴 것입니다 .   (2) 그리고 시므이는 다윗왕에게 “ 너는 사람을 죽인 죄로 이제 벌을 받아 망하게 되었다 !” 고 저주했는데 실제로 다윗왕은 밧세바를 간음하고 그 간음죄를 덮...

"그 저주 때문에 ..."

"그 저주 때문에 ..."  시므이는 계속해서 도망가는 다윗 왕을 저주했습니다 . 그 저주의 내용 중 이런 말이 있습니다 : " 너는 피를 흘린 자이므로 화를 자초하였느니라 ."   물론 시므이는 사울의 친족 한 사람으로서 다윗이 사울의 족속의 모든 피를 흘린 것을 말한 것이지만 저는 다윗이 밧세바와 동침한 것을 덮고자 그녀의 남편이요 다윗의 충성된 군인인 우리아의 피를 흘린 것이 생각났습니다 .   그 결과 다윗은 화를 자초하되 자기의 아들 압살롬이 자기의 생명을 해하려고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참고 : 삼하 12:9-12). 다윗은 ' 하나님께서 시므이에게 자기를 저주하라 명령하신 것이니 . 그가 저주하게 버려두라고 스루야의 아들들에게 말했습니다 .   그는 "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주시리라 " 고 말했습니다 ( 삼하 16:5-12).   하나님께서는 저주의 나무인 십자가에 죽으신 예수님 때문에 우리에게 구원을 베풀어 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