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질투하는 것은 스스로 무덤을 파는 것입니다!

  https://youtu.be/acEErnKv54s?si=116LU792C82JifSe

"깊은 상처, 더 깊은 능력"

  https://kr.christianitydaily.com/articles/128397/20250827/%EA%B0%95%EC%A4%80%EB%AF%BC-%EB%AA%A9%EC%82%AC-%EB%AA%A9%ED%9A%8C%EC%84%9C%EC%8B%A0-%EA%B9%8A%EC%9D%80-%EC%83%81%EC%B2%98-%EB%8D%94-%EB%8A%A5%EB%A0%A5.htm?r=la "깊은 상처, 더 깊은 능력 인간은 연약합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상처를 받으면 아픕니다. 상처는 흔적을 남깁니다. 몸과 마음이 지칠 때 상처를 받으면 더 아픕니다. 실패와 상실의 때에 상처를 받으면 더 고통스럽습니다. 피곤할 때는 작은 상처에도 쉽게 무너집니다. 무엇보다 상처는 대개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서 받게 됩니다. 칼로 찌르려면 가까이 다가가야 하듯, 관계의 가까움은 위로가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눈물을 씻어주고 닦아줄 수 있는 것도 가까운 이들입니다. 멀리서는 눈물을 씻어 줄 수도 없고, 눈물을 닦아 줄 수도 없습니다. 사랑한다는 것은 상처를 주고받는 일입니다.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어렵고 때로는 아픈 사랑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상처만 받는 것만 아니라, 알게 모르게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상처로부터 완전히 자유한 사람은 없습니다. 상처가 없는 곳은 무덤뿐입니다. 죽은 자는 더 이상 상처를 받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나는 날마다 죽노라”(고전 15:31)라고 고백했습니다. 자아를 내려놓을 때 비로소 상처를 초월할 수 있습니다. 우리 인생의 상처는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배신, 상처, 상실, 실패의 상처가 있습니다. 학대와 언어폭력으로 인한 상처가 있습니다. 죄책감과 후회의 상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한 상처가 있습니다. 저 역시 상처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가능한 상처를 덜 받고 덜 주며 목회하려고 애쓰지만, 늘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날마다 무릎을 꿇습니다. 마음...

"타투와 세례: 내 몸에 새길까, 내 삶에 새길까?"

  https://www.gospelandcity.org/news/articleView.html?idxno=31687 "타투와 세례: 내 몸에 새길까, 내 삶에 새길까? © koyu/Stock 자기표현의 시대, 그 가장 강력한 통로 중 하나는 ‘타투’가 아닐까? 자신에게 잊지 못할 중요했던 사건을 몸에 기록하고, 잊지 말아야 할 메시지를 새기며, ‘고유한 나다움의 미학을 몸에 그려 넣는 일’ 말이다. 전통 교회와 신학적 가르침은 단순하다. (1) 레위기 19:28의 “너희 살에 상처를 내지 말며 몸에 무늬를 새기지 말라”는 말씀과, 몸을 성령의 전(고전 6:19-20)이라 여겨 훼손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이유로 금지하거나, (2) 존 파이퍼 목사와 같은 복음주의 신학자들 중 일부는 타투의 의도나 동기가 자기과시나 속된 욕망과 연결되어 있지는 않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온화한 제안을 한다. 오늘날 한국 교회 안에서 타투는 보통의 문화가 되었다. 그리 멀지 않은 과거만 해도 타투가 범죄 조직이나 비행 청소년의 전유물처럼 여겨졌지만, 이제는 목사들도 타투를 하고 페이스북에 인증샷을 올리고 있으며, 대중의 뜨거운 사랑을 받는 찬양그룹 멤버들은 타투가 없으면 (그 음악이 재즈이든, 힙합이든, 락이든, EDM이든) 음악의 스피릿을 온전히 나타낼 수 없다고 믿는 것 같다. 그리고 이 변화의 속도감은 굉장하다. 7년 전 서울의 한 신학교에서 ‘예배음악’을 강의할 당시 ‘유명한 찬양 팀의 타투 여부’는 매우 흥미로운 토론 주제였지만, 작년에 한국을 대표하는 교회음악과 학생들과의 수업에서는 (그들은 이미 타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토론이 아예 불가능했다. 타투를 한 신앙인을 비난하거나 판단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타투는 예술적으로 자기 정체성을 영구히 표현하는 행위이며, 극심한 고통을 극복한 자신만의 위대한 흔적이고, 숭고한 사랑과 신념을 기념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리스도인은 대체로 성경문구나 십자가를 새기는 경우가 많고, 타투가 일상인 타문화권 젊은 세대에게 복...

고난은 기회입니다. (8)

둘째로, 고난의 유익(축복, 은혜, 기회)는 주님의 말씀을 지키게 합니다(시119:67하). 고난은 우리로 하여금 ... (1) 주님의 계명을 믿게 합니다(66절상). (2) 명철과 지식을 가르쳐 줍니다(66절하). (3) 주님의 선하심을 맛보게 합니다(68절상). https://youtu.be/9noyFnK1n6Q?si=df3pJrKmz8dGaqgY

바울의 3가지 마지막 권면 (25)

바울의 3 가지 마지막 권면 (25) “너희 말을 항상 은혜 가운데서 … 하라”(골4:6). 이 말씀의 의미는 ‘영적이고, 건전하고, 적합하고, 친절하고, 예민하고, 목적이 있고, 칭찬적이고, 온유하고, 진실하고, 사랑스럽고, 사려깊은 말을 하라’는 것이라고 죤 맥아더 목사님은 말하고 있습니다(맥아더). 우리의 대화가 항상 은혜로워야 한다면, 그것은 예의 바르고, 겸손하고, 그리스도와 같아야 합니다. 그것은 험담, 경박함, 더러움, 비통함이 없어야 합니다(Believer’s 성경 주석). 우리는 남의 말하기를 좋아해서는 아니 됩니다.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남의 말하기를 좋아하면 상대방에게 피해를 입힐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한 예로, 우리가 남의 말을 하다보면 “다툼”을 일으킬 수도 있고(잠18:6, 26:20) 또한 “친한 벗을 이간”할(갈라놓을) 수도 있습니다(16:28). 

주간 짧은 말씀 묵상 (2025년 8월 25-29일)

주간 짧은 말씀 묵상       “ 엘리사벳이 잉태를 못하므로 그들에게 자식이 없고 두 사람의 나이가 많더라 마침 사가랴가 그 반열의 차례대로 하나님 앞에서 제사장의 직무를 행할새 제사장의 전례를 따라 제비를 뽑아 주의 성전에 들어가 분향하고 모든 백성은 그 분향하는 시간에 밖에서 기도하더니 주의 사자가 그에게 나타나 향단 우편에 선지라 사가랴가 보고 놀라며 무서워하니 천사가 그에게 이르되 사가랴여 무서워하지 말라 너의 간구함이 들린지라 네 아내 엘리사벳이 네게 아들을 낳아 주리니 그 이름을 요한이라 하라 ”( 누가복음 1:7-13) 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   (1)    저는 이 말씀을 읽을 때에 창세기에 나오는 아브라함의 아내인 사래가 생각났습니다 : “ 사래는 임신하지 못하므로 자식이 없었더라 ”( 창 11:30). 이렇게 임신하지 못해 자식이 없었던 사래는 “ 믿음으로   … 잉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으니 이는 약속하신 이를 미쁘신 줄 알았 ” 기 때문입니다 ( 히 11:11).   (a)    여기서 약속하신 하나님이 미쁘신 줄 알았다는 말씀을 묵상할 때 제가 좋아하는 디모데후서 2 장 13 절 말씀이 생각났습니다 : “ 우리는 미쁨이 없을지라도 주는 항상 미쁘시니 자기를 부인하실 수 없으시리라 ”[( 현대인의 성경 ) “ 우리는 신실성이 없지만 주님은 언제나 신실하셔서 약속하신 것을 어기실 수 없습니다 ”]. (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