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고난은 기회입니다. (6)

"고난의 유익은 그 고난을 통하여 내가 하나님 보시기에 그릇행하였다는 것을 깨닫는 것과 하나님의 법을 배우게 된 것과 이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지키게 된 것입니다(시 119:67, 71). 이러한 깨달음(나의 죄)과 배움(하나님의 말씀)과 지킴( 말씀 순종)이 없는 고난은 무익합니다." 1. 깨달음: 교만함(시119:69), 그릇 행함(67절), 마음의 살찜과 기름덩이(70절) [마음에 지방을 제거하라!: https://blog.naver.com/kdicaprio74/150112959844] 2. 배움: 자녀들의 위기를 통해 저는 선하신 주님께서(68절) 저를 선대하사(65절) 가르쳐주신(68절) 시편 63편 3절 말씀과 베드로전서 5장 10절 말씀을 배우게 되었습니다(71절). [20년 전 이 아빠의 품에 잠든 사랑하는 첫째 아기 주영이를 추모하면서 ... : https://blog.naver.com/kdicaprio74/221262767368] [금년 2019년 한 해를 영원히 과거로 보내기에 앞서 ...: https://blog.naver.com/kdicaprio74/221756284213] 3. 지킴: https://youtu.be/i6TfokavYN4?si=P1E4vvk_bnPOvabx

"다음 세대 제자 양성을 위한 신학 비전"(A Theological Vision for Discipling the Next Generation)이란 글을 읽고 다시 읽으면서 ...

"다음 세대 제자 양성을 위한 신학 비전"(A Theological Vision for Discipling the Next Generation)이란 글을 읽고 다시 읽으면서 ...

 

 

  1. "우리의 신학 비전은 신명기 6장에 뿌리를 핵심 신념에서 시작한다. 바로 부모가 자녀의 제자 양육에 가장 중요한 존재라는 사실이다." 진정 우리 부모들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혜의 선물로 주신 자녀에게 영적으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존재인지를 알고 있는 것인지요? 만일 우리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우리 자신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지 못하고 먹고 살기 바쁘다 등등의 핑계로 자녀 양육의 책임을 다른 사람들(교회 주일 학교 담당 목사님들/전도사님들이나 아이들을 돌봐주는 곳에 사람들)에게 떠넘기면서 살고 있다면, 우리 자녀들은 어떻게 되겠습니까? 우리 자녀들은 대학교에 가서도 예수님을 믿으면서 계속해서 신앙생활을 할까요? 어떻게 해서든 우리 부모들은 하나님께서 ;들에게 부여하신 자녀 양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소홀히 하게 하는 것을 경계해하고(당연시해서는 )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와 사랑으로 우리 자녀들을 예수님의 제자로 삼고 양육하고 훈련을 시키는데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1. " 번째 신념은 부모의 소명이 신뢰와 순종이라는 것이다." 우리 부모들의 소명이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이라는 것은 예수님을 믿고 있는 부모들이라면 어느 정도는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우리는 자녀 양육에 있어서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못하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수없이 보게 됩니다.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못하기에 우리는 자녀의 위기를 접할 때마다 매우 불안해하고 걱정과 근심 속에서 헤맬 때가 많습니다. , 우리 부모들은 자녀의 위기를 통해 우리 자신이 얼마나 하나님을 불신하고 있는지를 적랄하게 들춰내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 자신의 영적 밑바닥의 모습을 직시케하심으로 때서부터야 성령 하나님께서는 우리로하여금 오직 주님만 바라보게 하시고 의지케하시며 신뢰케 하십니다. 과정에 성령님은 우리 부모들로하여금 먼저 하나님을 더욱더 의지하며 신뢰케하시는 가운데 믿음으로 우리 자녀에게도 신뢰를 주도록 일하십니다. 비록 우리 자녀들이 우리가 신뢰를 저버리고 실수와 실패를 거듭 할지라도 우리는 더욱더 하나님을 신뢰하므로 하나님이 우리 자녀들을 우리 부모보다 사랑하시고 제일 사랑하시고 계심을 믿는 믿음으로 계속해서 신실하게 우리 자녀들에게 믿음으로 신뢰를 줘야 합니다. 이렇게 저의 경우는 부모의 소명이 신뢰라는 것은 이정도로 조금이마나 깨닫게해주셔서 확신 속에서 강조를 하고 있지만 "순종" 경시함으로 "영적 안주"["영적인 성장과 발전을 멈추고 현재 상태에 안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영적인 만족감이나 편안함에 머무르며 이상 영적인 성장을 추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인터넷)] 빠지곤 합니다. 사랑하는 아내와 자녀들은 둘째치고 자신이 영적 안주에 빠져있음으로 가정 사역에 있어서 영적으로 더욱더 성장하고 각자 우리 식구들에게 주신 하나님의 은사를 개발하여 믿음으로 우리 각자의 가능성(potentials) 극대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이지 않고(못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말대로 "부모의 소명이 신뢰와 순종이라는 " 동의하면서 동시에 신뢰와 순종에 균형이 있어야 한다는 말에도 동의합니다. 저의 경우는 균형을 잃어서 신뢰쪽에 마음이 많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순종쪽에 좀더 마음을 두고 심혈을 기울여 노력하는 가운데 부부 관계뿐만 아니라 그다음에 자녀들에게도 적용하여 더욱더 성장하는 부모와 자녀들이 되길 기원합니다.

 

  1. ' 가지 기본 원칙: (1) 약속: 언약의 약속을 신뢰하라, (2) 섭리: 모든 삶을 하나님과 관련된 것으로 바라보라, (3) 임재: 하나님의 가까움을 의지하라, (4) 진전: 성장을 수용하라.' 저는 가지 기본 원칙을 가정에 반영해 가정의 위기, 특히 자녀들 중에 자녀들의 위기 때가 생각납니다. 이유는 위기를 하나씩 하나씩 겪었을 때마다 하나님은 저희 부부에게 언약의 약속의 말씀을 주셨고(예를 들어, 첫째 아기 주영이를 천천히 죽게하기보다 빨리 죽게하기로 저희 부부가 결정하게 이유가 바로 아침에 제가 시편 63 3 말씀을 묵상하다가 은혜를 받아 약속의 말씀을 붙잡게 하셨기 때문이었음), 저희 부부로 하여금 자녀들의 위기 가운데서도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와 임재를 깊고 크고 넓게 경험케하시사 위기들을 오히려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기회로 만들어 주셨고, 우리 부부부가 부모로서 오히려 자녀들의 위기를 통해 이모저모로 성장케 되는 은혜를 누리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에 저는 현재 자폐증이 있는 처남과 함께 살면서 저희 부부가 그의 부모는 아니지만 어린아이와 같은 처남을 양육함에 있어서 갈등을 다시 겪고 있지만(이제 자녀들은 장성하였기에 이상 부부 갈등이 없지만) 위기도 하나님께서 약속의 말씀을 우리에게 주실 것이고, 하나님께서 장모님의 갑작스러운 죽으심으로 처남을 저희 부부에게 보내주시사 함께 살게하심 가운데 주시는 축복와 은혜를 점진적으로 누리게 하실 믿습니다. 특히 저자가 번째 원칙인 "진전: 성장을 수용하라"에서 "자녀를 키우면서 제자로 양육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진전이 더디게 느껴지거나 다른 집과 비교될 여정은 낙담스러울 수도 있다. 우리는 부모들에게 도달할 없는 완벽의 기준보다는 진전에 집중하도록 권장한다"하고 말했는데 또한 처남을 아내와 함께 양육함에 있어서 "완벽한 기준보다는 진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 "제자훈련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사역 초기의 단편적인 한계를 인지한 우리는 태어나서부터 18세까지 아이들을 제자로 양육하기 위한 일관된 전략을 수립하고자 노력했다." 저자는 도로시 세이어스가 1948년에 에세이 "잃어버린 학습 도구들"(The Lost Tools of Learning)에서 영감을 받아 자녀들을 예수님의 제자로 훈련시킴에 있어서 단계인 (1)"앵무새" 단계, (2) "반항" 단계, (3) "시인" 단계로 구분해서 단계에 맞춰 사역을 (1) 유아부(0-5), (2) 초등부(5-9), (3) 교리문답(10-12), 그리고 (4) 학생부 (13-18) 연령 구룹으로 구성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내용을 읽으면서 "유아부"(0-5)에서 특히 0-3세가 매우 중요하다고 믿고 있습니다(제가 첫째 아기가 죽고 둘째인 딜런이 태어났을 때쯤에 미국 덴버에 있는 Focus on Family라는 라디오를 듣다가 어느 자녀 양육 전문가 목사님이 아이들은 0-3살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한 내용을 들었고 믿게 되었기에). 그래서 저는 딜런, 예리, 예은이를 3살까지는 저희 부부가 돌아가면서 돌보고 양육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3살이 지나서야 우리 동네에 있는 한인 교회에서 운영하고 유치원엔가 보냈습니다. 어쩌면 우리 자녀들이 유아부(0-5)까지는 "앵무새" 단계로 어느 정도는 수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부모가 하는대로 따라하는 단계라 말할 있을 것입니다. 저는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으로 제가 중요시여겼던 것은 우리 자녀들이 11-12살까지였습니다. 사춘기가 접어들기 전까지 우리 부모가 그들에게 끼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후로는 우리는 부모로서 자녀들을 양육함에 있어야 양육 방법을 바꿔야 한다고도 생각했구요. 제가 어느 책을 통해 배운 방법은 "coaching" 방법이었습니다. 마치 축구로 말하자면 축구 감독은 축구 시합 전반전인 끝나고서 후반전이 시작하기 전까지 선수들을 모아서 coaching하는 것처럼 우리 부모는 자녀들을 그리 양육하고자 애썼습니다. 그리고 저는 자녀들이 18살이 되어서는 명씩 한명씩 우리 동네에 있는 은행에 데리고 가서 은행계좌를 열어주고 돈을 입금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들이 대학교를 가려고 했었을 지리적으로 부모님과 떨어져서 독립을 하게 되는 것이었기에 경제적인 독립 외에는 정서적으로나 등등 독립할 것을 권면하고 권면했습니다.

 

  1. "세이어스는 시인 단계를 “‘어려운시기라고 지적했다. “ 시기는 자기중심적이며, 자신을 표현하고 싶어 하고, 오히려 오해받는 특화되어 있으며, 불안하고 독립심을 얻으려 애쓴다.” 십대들은 종종 오해받고 불안해하지만, 동시에 엄청난 창의력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 ... 우리 교회는 십대들이 신학의 뿌리를 깊이 내리고, 그리스도를 닮아가며, 신앙 안에서 성숙하도록 돕는다. 청소년기에는 정체성, 목적, 그리고 믿음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이 가득하다. 학생들은 부모와 차별화되고 복음에 대한 자신만의 이해를 형성하기 시작하며, 우리는 은혜와 의지로 과정을 지원한다. 시기에는 학교와 사회 집단을 넘어서, 의미 있는 우정과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문화적, 개인적 어려움에 직면할 , 우리는 그들이 뚜렷한 기독교 세계관을 발전시키도록 돕는다." 저희 부부는 자녀들을 18살까지 양육하면서 무수한 실수와 실패와 죄를 범했지만 하나님께서 그들을 우리보더 훨씬 사랑하시고 제일 사랑하고 계심을 조금이나마 깨닫게 되어 믿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주신 믿음으로 지금까지 그들을 바라보며 지지하는 가운데서 뒤돌아볼 저는 그들에게는 "반앙 단계" 거의 없었다고 생각됩니다(전혀 없었다고는 말하지 못하겠지만서두요). 그런데 저자가 말한 "시인 단계" 당연히 있었고 지금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그리 생각하는 이유는 자녀들 "독립심을 얻으려 "쓰고 있는 모습을 저희 부부가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한 것은 저자가 " 시기에는 학교와 사회 집단을 넘어서, 의미 있는 우정과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말했는데 자녀들 대학교에 들어갔었을 주님께서 귀한 만남과 공동체에 속하게 하셔서 자녀들이 만남들과 공동체들 안에서 신앙을 갖게 되고, 성장하게 되었으며, 주님을 향한 헌신과 사명과 선교적 마인드를 갖게 되었다고 아빠로서 생각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주님께서는 첫째 아들 딜런을 부르시사 사명감을 갖게 하셔서 지금 신학교를 다니면서 교회에서 전도사로 섬기게 하고 계시고, 둘째 예리는 일본에서 2 동안 선교사로 섬기게 하시다가 다음 월요일에 미국으로 돌아와 자기 교회에서 3년간 장기 사역자 훈련을 일주일에 16-20시간 훈련을 받을 계획이며, 막내 예은이는 지금 대학교를 졸업하여 직장을 잡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녀에게 주신 마음도 선교입니다(직장 선교인으로 세우시려고 하시는 같아보임).

 

  1. 제자훈련 문화를 만들어가기”: “다음 세대를 제자로 양육하는 것은 단지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하나님이 그들을 통해 우리를 어떻게 양육하시는지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신뢰와 순종을 가르치면서, 우리도 아이들처럼 불신앙을 회개하고 하나님의 은혜에 의지하도록 도전받는다. 이러한 상호 성장은 모두가 복음 안에서 함께 성장하는 활기찬 제자도 문화를 만들어낸다.”  저는 부분의 글을 읽고 읽으면서 제자훈련 문화를 만들어가기 교회 안에서 시작되기 이전에 가정 안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가정 안에서 제자 훈련 문화를 만들어감에 있어서 먼저 가정의 가장인 같은 남자(남편/아버지) 예수님의 제자로 주님께 세움을 받는게 급선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서 남편은 아내를 예수님의 제자로 세우는데 헌신해야 합니다.  그러한 가운데서 저와 아내가 예수님의 제자로서 하나님이 사랑하시사 저희 부부에게 잠시 맡기신 사랑하는 자녀들을 예수님의 제자로 양육하는데 헌신해야 합니다.  이제는 자녀들뿐만 아니라 딜런의 부인인 제시카(저희 부부의 며느리) 예수님의 제자로 양육해야 하며 또한 이제 저희 부부와 함께 살게 처남 지미도 예수님의 제자로 양육해야 책임이 저희 부부에게 있다고 믿습니다.  앞으로 주님께서 사랑하는 딸들도 결혼시켜주시면 때에는 저희 부부는 그들의 배우자들(저희 부부의 미래 사위들) 에수님의 제자로 양육해야 것입니다.

 

  1. 저는 오늘 다음 세대 제자 양성을 위한 신한 비전이란 글을 읽고 읽으면서 이렇게 자신과 가정을 뒤돌아보면서 위에 6가지 글을 짧게나마 적어보았습니다.  그런 이렇게 나름대로 결론을 내려보려고 시도할 저는 다음 세대 위해 기도케 하실 마음이 뭉클하고 눈물이 나올 때가 있습니다.  아마 눈물은 저희 부부의 후세대들이 믿음으로 살아가야 시대가 예수님의 재림이 점점 가까워져가는 시대이기에 사탄의 영적 공격과 핍박이 더욱더 심해지는 시대이기에 걱정되서 흘리는 눈물일 수도 있고 또한 후세대들이 겪어야 시험과 시련과 고통과 괴로움 등등을 생각하고 흘리는 눈물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에게 주시는 마음은 저희 부부의 다음 세대 위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자문 속에서 적어도 저희 부부에게 은혜의 선물로 주신 자녀들인 딜런과 예리와 예은이, 그리고 이젠 딜런의 부인인 제시카와 아내의 남동생인 지미를 우선적으로 그리스도 중심된 꿈을 가진 하나님의 나라의 일꾼으로 양육하고 양성하는 막중한 책임을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대로 계속해서 감당하길 원합니다.  그러한 가운데서 저희 부부가 섬기고 있는 승리장로교회에 영어사역에 속해 있는 젊은 형제들과 자매들 히스패닉 사역의 자녀들을 위하여 기도하면서 조금이마나 그들을 그리스도 중심된 꿈을 가진 일꾼들로 세우는데 헌신하고 있습니다.  외에 조카들과 아내의 조카들 우리 다음 세대어린이부터 청년들까지 약속의 땅인 가나안 땅을 정복하는 여호수아와 시대 일꾼들 기드온의 300 군사와 같은 예수님의 십자가의 군사들로 양육하는데 조금이마나 유익한 존재들이 되길 기원합니다.

 

https://www.gospelandcity.org/news/articleView.html?idxno=3147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