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로마법에 의하여 십자가에 처형당하신 예수님

로마법에 의하여 십자가에 처형당하신 예수님

 

 

 

십자가에 박고 옷을 나눌새 누가 어느 것을 가질까 하여 제비를 뽑더라 때가 제삼시가 되어 십자가에 박으니라”(마가복음15:24-25)하는 말씀을 묵상하면서 주시는 교훈을 받고자 합니다:

 

(1)   여기서 성경은 로마 군인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박았다고 말씀하고 있는데 당시 십자가 형은 로마인들의 독특한 형벌로서 로마의 시민권을 가진 자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단지 이방 점령 지역의 극악한 범죄자들에게만 적용되었던 형벌입니다.  한편 로마법에 의한 십자가 처형은

 

(a)   먼저 공식적 선고를 받은 자가 자기의 십자가를 지고 형장으로 향합니다.


(b)   형장으로 행하는 길에 자기 죄목이 적힌 명패를 가슴에 달아 지나가는 통행인들에게 인격적 모독을 받게 합니다.


(c)   형장에 도착한 죄수의 옷을 벗깁니다.


(d)   독한 술로 육체와 정신을 혼미케 십자가에 못을 박거나 묶어 그것을 반듯이 세웁니다.


(i)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미 세워둔 십자가위에 죄수를 끌어올려 못박는 경우도 있습니다.


(e)   그런 상태로 계속 버려두어 죄수로 하여금 서서히 죽어가게 합니다.


(i)                  이때 건강한 남성의 경우 3 정도 경과해야 숨이 끊깁니다.  이때 각종 야수나 새들이 죄수의 몸을 뜯어 먹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합니다.


(f)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한 죄수의 다리를 꺾고 치명적인 외상을 가함으로써 어떠한 소생 가능성도 없애 버립니다.


(i)                  물론 이때 외관상 죽은 것이 확인되면 다리는 꺾지 않고 창으로 몸을 찔러 확인 사살만 합니다(호크마).

 

(2)   여기 마가복음 15 24 현대인의 성경은 로마 군인들인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고 나서 제비를 뽑아 예수님의 옷을 나눠 가졌다 하고 말씀하고 있는데, 요한복음 19 23-24 현대인의 성경은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은 군인들은 그의 옷을 가져다 조각으로 나눠 각각 하나씩 가졌다. 그러나 속옷은 이어 붙이지 않고 위에서부터 통으로 것이어서 군인들은 '이것을 찢지 말고 제비를 뽑아 갖기로 하자' 하고 서로 말하였다.  이것은 '그들이 겉옷을 서로 나누고 속옷은 제비를 뽑습니다.' 라는 성경 말씀이 이루어지기 위해서였다.  그래서 군인들이 이런 짓을 했던 것이다.”

 

(a)   말씀을 종합해서 묵상할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은 4명의 로마 군인들은 예수님의 겉옷은 가져다 조각으로 나눠 각각 하나씩 가져 가졌는데( 조각으로 나눠 각각 하나씩 가져간 것을 보면 4명의 군인들임) 위에서부터 통으로 예수님의 속옷은 진귀한 것이었으므로(헨리) 찢지 않고 제비를 뽑아 사람이 갖기로 했습니다.  이것은 시편 22 18편의 말씀을 성취한 것입니다: “그들이 겉옷을 서로 나누고 속옷은 제비를 뽑습니다”(현대인의 성경).

 

(i)                  그들은 예수님을 십자가에 박기 전에 그분에게서 옷을 벗기었습니다.  벌거벗음에 대한 수치를 의식하게 것은 아담이 죄를 지은 때부터서였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위하여 죄를 담당하신 예수님께서는 수치도 담당하시므로 우리의 수치를 제거해 주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를 " 세마포로" 입하시기 위하여( 3:18) 벗김을 당하셨습니다.  또한 우리가 입을 옷이 없으나 "벗은 몸으로 발견되지 않게 하시기 위하여" 벗김을 당하셨습니다(헨리).


(b)   예수님 당시 옷은 그대로 돈이었습니다. 직조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일일이 실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손으로 일일이 짜야 합니다. 그래서 옷은 너무나 귀하였습니다. 예수님은 새벽부터 아침 9 정도까지 계속 채찍을 맞으셨습니다. 그래서 옷은 찢겨지고 피가 낭자하게 묻었습니다. 그래서 옷은 귀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은 로마 병정은 명이었습니다. 이들은 부수입이 생겼다고 좋아하였습니다. 예수님의 옷을 벗긴 후에 나누어 가지면 술값정도는 나올 같았습니다. 예수님의 겉옷을 벗겨서 조각으로 나누었습니다. 각각 깃씩 가졌다고 것을 보면 명이었음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조각도 돈이 되었다는 사실을 있습니다. 비록 피가 묻었어도 빨면 됩니다. 지금 성경 학자들은 조각으로 예수님의 나눈 것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복음이 퍼져 나갈 것에 대한 예표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우연은 없습니다. 하나님의 섭리입니다. 그런데 겉옷을 벗기고 나서 속옷을 벗기려고 로마 병정들은 놀랐습니다. 속옷은 보통 옷이 아니었습니다. 요한복음 원문에는 <키톤>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키톤이라는 말은 놀라운 단어입니다. 직조술이 발달되지 않은 시대이지만 모두 조각입니다. 통으로 옷입니다. 성경도 그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속옷도 취하니 속옷은 호지 아니하고 위에서부터 통으로 것이라>(23) 이런 옷은 보통 사람이 입을 없는 옷입니다. 제사장들만이 특별히 입는 옷입니다. … 예수님 당시의 역사가는 요세프스입니다. 요세프스는 옷은 제사장이 입는 옷이었다고 기록하여 놓았습니다. 성경 기록과 일치하고 있습니다. 성경도 그렇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옷은 너무나 비싼 옷이라 나눌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채로 사람이 가져야 가격을 받을 있습니다. 그래서 제비를 뽑아 가졌습니다. 흔히 겉옷이 비쌉니다. 속옷은 그리 비싸지 않습니다. 로마 병정들은 겉옷을 잘라서 나누었습니다. 그러나 속옷은 나누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으실 키톤 옷을 입고 계셨음을 성경은 말해주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옷을 입으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신 이유는 무엇이었을 가요? 예수님은 제사장입니다. 예수님이 키톤 제사장 옷을 입으셨습니다. … 예수님은 제사장입니다. 제사장은 라틴어로 폰티텍스라고 합니다. 폰티텍스라는 말은 <다리는 놓는 사람>이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자가 되셨습니다.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다리를 놓으셨습니다. … 그래서 로마 병정들이 옷을 나눌 하나님이 계신 지성소와 사람들이 있는 성소 사이를 막고 있는 휘장이 찢어졌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을 만날 있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중보자이십니다. 그래서 제사장 옷을 입고 죽으셨습니다”(인터넷).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