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을 다스려라"

"자녀를 건강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 자신부터 감정 다스려라   부모의 감정이 무엇보다 자녀의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셔터스톡 부모라면 자녀의 감정을 존중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인 당신의 감정은 어떠한가? 임상 사회 복지사이자 심리 치료사인 힐러리 제이콥스 헨델과 심리학자이자 양육 교육자인 줄리 프라가 박사는 신간, 『부모도 감정이 있다(Parents Have Feelings, Too)』에서 통념을 뒤집었다.  즉,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먼저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 메시지다. 이들이 부모들에게 어떤 조언을 했는지 CNN과 함께 알아본다.  부모에게 가장 중요한 감정, '분노' 헨델은 부모가 다뤄야 할 6가지 핵심 감정으로  ▲분노 ▲슬픔 ▲두려움 ▲혐오 ▲기쁨 ▲흥분을 꼽았다. 그러면서 ‘분노’를 가장 중요한 핵심 감정으로 보았다.  그녀는 “분노는 파괴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곤경에 빠뜨리는 감정이며, 그래서 우리는 대개 그것을 묻어버린다. 그런데 이때 분노는 안으로 폭발하여 우울, 죄책감, 불안, 수치심으로 나타날 수 있다. 혹은 밖으로 폭발하여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요한 것은 분노를 ‘행동’으로 옮기지 않고 ‘경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이는 분노에 이름을 붙이고, 신체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 알아차리고, 그 순간의 충동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며, 궁극적으로는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면의 과정이다.  이에 더해 헨델은 분노를 두 개의 분리된 단계로 이해할 필요성을 말했다. 분노를 경험하는 내적인 과정과 스스로와 가족에게 건설적인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는 외적인 과정이 그것이다.  한편, 프라가 박사는 엄마와 달리, 아빠들의 경우 ‘분노’라는 감정처리에 더욱 익숙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아빠들...

When I meditate on these words, I am taught that I must offer my own life, as well as the lives of my beloved wife and children, to the Lord and that we must all obey Him until we die.

When I meditate on these words, I am taught that I must offer my own life, as well as the lives of my beloved wife and children, to the Lord and that we must all obey Him until we die.

 

 

Finally, Jesus went to a place called Gethsemane, where He left eight of His disciples in one place and took three of them with Him to another location.  He left them there and went a little farther, fell face down, and prayed to God the Father, saying: 'Father, if it is possible, may this cup be taken from me.  Yet not as I will, but as you will' (Matthew 26:36-39, Korean Modern Bible).  Wouldn't it have been better if, instead of sharing His deep distress with the 11 disciples, excluding Judas Iscariot, and asking them to 'stay here and keep watch with me,' He had prayed alone to God the Father?  If it were me, I would have shared my troubled heart with those 11 beloved brothers and then asked for their prayers to pray together.  But Jesus did not do so.  Jesus chose to be alone with God the Father.  Jesus went alone and prayed to God the Father."  And Jesus first prayed to God the Father, saying, 'Please take this cup of suffering away from me.'  When I meditate on this 'cup of suffering,' I remember when the mother of John and James came to Jesus and asked, 'Grant that one of these two sons of mine may sit at your right and the other at your left in your kingdom.' Jesus responded to her, saying, 'You don't know what you are asking.  Can you drink the cup of suffering I am going to drink?' (Matthew 20:20-22, Korean Modern Bible).  Jesus first prayed to God the Father to take away the 'bitter cup of suffering' that He had to drink.  But Jesus prayed, 'Yet not as I will, but as you will' (26:39, Korean Modern Bible).  Even though Jesus was 'greatly distressed' and said, 'My soul is overwhelmed with sorrow to the point of death,' He laid down His will and prayed to God the Father to obey His will, even to the point of death.  After this, just as He had prayed, Jesus 'became obedient to death—even death on a cross.' (Philippians 2:8, Korean Modern Bible).  As I meditate on this passage, I learn that we must obey the Lord unto death, not only offering our own lives but also the lives of our beloved wife and children, surrendering them to the Lord."

 


댓글